[과학] 달의 생김새, 달의 표면 관찰, 달의 모양 관찰, 달의 지형 구조
과학

[과학] 달의 생김새, 달의 표면 관찰, 달의 모양 관찰, 달의 지형 구조

인사이트인포 2025. 8. 5.
728x90

달은 지구처럼 둥근 공 모양입니다. 달의 표면은 크고 작은 충돌 구덩이들이 존재하며 울퉁불퉁한 모습을 보입니다. 달 표면에는 밝게 보이는 곳이 있고 어둡게 보이는 곳이 공존하는데요. 달의 표면에서 어둡게 보이는 곳을 달의 바다라고 합니다. 하지만 지구처럼 바다라고해서 물이 넘실대는 강이나 호수는 아닙니다. 오늘은 달의 표면 모습과 달의 생김새 등을 살펴볼게요.

 

1. 달의 표면, 달의 모습, 달의 생김새

달의 표면은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울퉁불퉁하게 보이며 실제 다양한 구덩이들이 존재한답니다. 지구에서 달을 보면 어둡게 보이는 부분을 달의 ‘바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달의 바다에는 물이 없습니다. 어둡게 보이는 것은 이 부분의 암석의 색깔이 어둡기 때문입니다. 밝게 보이는 부분은 달의 바다보다 높은 지역으로 ‘육지’라고 부릅니다. 달에는 운석 구덩이인 ‘크레이터’들이 많이 있어 울퉁불퉁하게 보입니다.

달의 표면 모습
달의 표면 모습

 

  • 지구에서 본 달의 모습은 둥근 모양이며, 달의 지름은 지구 지름의 4분의 1입니다.
  • 지구보다 80배나 가벼워서 물체를 땡기는 힘이 지구의 6분의 1입니다.
  • 햇빛을 반사하여 밤에 밝은 빛을 내고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달에는 대기가 있을까?

  • 달에는 대기가 없습니다. 그래서 동식물이 숨을 쉴 수 없고 햇빛이 비추는 곳과 비추지 않는 곳의 온도의 차이가 심합니다.
  • 대기가 없어 운석과의 충돌을 막아 주지 못하므로 달의 표면에는 운석 구덩이인 크레이터들이 많습니다.
  • 풍화와 침식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한 번 생긴 운석 구덩이는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 달이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대략 1달이 걸리고, 자전을 하는 데도 1달이 걸려서 낮이 14일 정도, 밤도 14일 정도입니다.
  • 달의 자전과 공전의 주기가 같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앞면만 보게 되는 것입니다.
  • 달의 온도는 낮에 130℃, 밤에는 -130℃ 정도나 되기 때문에 동식물이 살 수 없습니다.
  • 달나라에서 방아 찧는 토끼는 절대 있을 수가 없는 것입니다.

3. 지구에서 보았을 때 달의 모양은 왜 바뀔까요?

달의 모양이 바뀌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 지구, 달의 배열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태양 빛을 받는 부분만 밝게 보이고, 태양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은 어둡게 보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태양-지구-달의 순서로 있을 때에는 달의 앞면이 태양 빛을 모두 반사하여 보름달로 보이고, 그 순서가 태양-달-지구로 될 때에는 지구 그림자에 가려 태양 빛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그믐달이 되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4. 달의 지형

현재 남은 기록으로는 달에 바다의 이름을 가장 먼저 붙인 사람은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다. 그는 망원경으로 달을 관찰하여 달의 어두운 부분이 물이 차 있는 바다라고 생각했다. 학자들은 달과 지구의 각종 기상현상에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러한 관념이 반영된 것이다. 기상현상을 딴 대표적인 이름이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곳으로 유명한 고요의 바다 외에 구름의 바다, 비의 바다, 습기의 바다, 증기의 바다, 추위의 바다, 평온의 바다 등이다. 울퉁불퉁 뾰족한 달의 대륙 바다가 있으니 당연히 대륙도 있을 터, 달 표면에서 상대적으로 밝은 색을 띠는 곳을 달의 대륙이라고 부른다.

 

대륙은 바다보다 높은 지형이다. 바다와는 달리 칼슘과 알루미늄이 많아 밝은 색으로 보인다. 달의 바다가 지구의 바다와 다르듯 달의 대륙도 지구의 대륙과 다르다. 지구 표면에서는 바람과 물에 의해 풍화작용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날카로운 지형은 뭉툭해지고 높이 솟은 산은 깎여나가서 낮아진다. 그러나 달에는 대기가 없어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비가 올 일이 없는 것은 물론이고 바람 한 점 불지 않는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달의 대륙에는 높고 뾰족한 산들이 많다. 많은 산은 운석의 충돌로 만들어진 것으로 만들어진 지 최소한 30억 년이 넘은 것들이다. 달은 지구처럼 지질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죽은 별’이라 달 표면의 분화구들은 대부분 운석이 충돌한 흔적이라고 생각된다.

달의앞면
달의 앞면

 

달의 뒷면
달의 뒷면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