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생생물(Protist)은 생물 분류상 진핵생물에 속하지만, 동물, 식물, 균류에 해당하지 않는 다양한 생물군을 총칭하는 용어이며 진핵생물 중 나머지 고등 생물들을 제외한 나머지를 모아놓은 집단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원생생물은 다양한 영양 획득 방식을 가지고 있는데요.
식물처럼 엽록체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유기물을 만드는 독립영양 원생생물인 조류가 있으며, 동물처럼 다른 유기물을 섭취하여 영양분을 얻는 종속영양 원생생물인 아메바, 짚신벌레 등이 있습니다. 또한, 광합성과 섭식을 모두 하는 혼합 영양 원생생물로는 유글레나도 있으며 균류처럼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원생생물의 종류와 특징, 강이나 호수 등 연못 하천에 사는 원생생물과 바다에 사는 원생생물을 살펴볼게요.
원생생물은 동물이나 식물과 달리 구조가 단순하고, 대부분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단세포 생물이지만 녹조류, 홍조류, 갈조류처럼 다세포 원생생물도 있다. 대부분 물에 서 살지만 축축한 토양이나 낙엽에 사는 원생생물도 있습니다.
1.연못이나 하천에 사는 원생생물
종벌레
- 종을 거꾸로 한 모양으로 연못이나 웅덩이 물속 의 나무나 돌 등에 붙어서 산다.
- 움츠렸을 때와 뻗었을 때 3배~6배 정도 몸길이가 차이 날 만큼 신축성이 강 하다.
- 몸 위쪽에 섬모가 있는 부분이 입으로, 다른 생 물을 먹어서 양분을 얻는다.
- 몸 아래쪽은 자루처럼 되 어 있어 이 부분으로 다른 물체에 붙는다.
나팔벌레
- 몸이 긴 깔때기 모양으로 입 둘레는 넓고 뒤 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다.
- 몸 전체에 있는 섬모를 이용해 헤엄을 치거나 다른 물체에 붙는다.
- 자신보다 작은 세균 등을 물과 함께 삼켜서 양분을 얻는다.
해캄
- 호수나 강가에 있는 바위 근처에서 산다.
- 원통형 의 세포가 길게 연결되어 있고 나선 모양의 가닥 안에 엽록체가 있어 초록색으로 보인다.
- 광합성을 해 스스로 양분을 만들며, 수온이 높고 광합성을 하기에 좋은 환 경에서 빠르게 번식한다.
유글레나
- 연두벌레라고도 불리며 연못에서 산다
- 몸 안 에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하는 식물의 특징이 있다.
- 입이나 수축포, 편모 등을 이용해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의 특징도 가지고 있는 원생생물이다.
반달말
- 주로 논이나 하천에서 산다.
- 이름은 반달말이지 만 양쪽 끝이 뾰족하고 가운데 부분이 활처럼 볼록하게 휘어진 형태로 초승달 모양에 가깝다.
- 단세포 생물이고 몸 안에 엽록체가 있어 광합성을 해 스스로 양분을 만 든다.
짚신벌레
- 연못, 논 등에서 산다. 맨눈으로 볼 수 없을 만큼 작다.
- 끝이 둥근 원통 모양으로, 다른 생물을 먹어 양분을 얻는다.
- 몸 전체에 난 섬모를 이용해 이동한다.
2.바다에 사는 원생생물
바다에 사는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도 원생생물이며 해조류가 자라는 바다의 깊 이와 해조류의 색깔에 따라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뉜다.
김
- 홍조류에 속하며, 색깔은 검은 자주색 또는 붉은 자 주색이다.
- 긴 타원 모양 또는 줄처럼 생긴 달걀 모양으 로 길이는 15 cm~25 cm, 폭은 7 cm~12 cm 정도이 다.
- 가을에서 봄 사이에 바위에 붙어 자란다.
미역
- 갈조류로 바닷속 바위에 붙어서 산다. 길이 1 m~ 2 m, 폭 50 m 정도로 자라며 식물과 구조적으로 유사 하다.
- 겨울에서 여름까지 자라며 세계적으로 온대성 해 역에 분포한다.
다시마
- 갈조류로 길이 1.5 m ~ 3.5 m, 폭 25 cm ~ 40 cm 정도로 자란다.
- 수심 20 m~30 m인 바다의 바 위에 붙어서 자라며,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볼 수 있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수원화성의 정문 장안문, 장안문 옹성이란 무엇일까?, 장안문의 호위병 적대 (0) | 2025.07.17 |
---|---|
[과학] 철이 자석에 붙는 이유 자기장 원리, 일상생활에서 자석을 이용하는 예 (2) | 2025.07.17 |
[과학] 동물의 한살이 개념, 배추 흰나비의 한살이 과정, 배추흰나비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 생김새 특징 (0) | 2025.07.17 |
[과학] 수원화성의 통신탑 봉돈, 봉돈이라고 불린 이유, 수원화성 봉돈의 쓰임새 (0) | 2025.07.17 |
[과학] 수원화성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벽돌로 만든 공심돈, 공심돈은 원래 3곳이다 (0) | 2025.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