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수원화성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벽돌로 만든 공심돈, 공심돈은 원래 3곳이다
과학

[과학] 수원화성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벽돌로 만든 공심돈, 공심돈은 원래 3곳이다

인사이트인포 2025. 7. 17.
728x90

수원화성의 공심돈(空心墩)은 화성 건축의 독창성과 실용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방어 시설입니다. 공심돈이라는 이름은 속이 비어있는 돈대라는 뜻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합니다. 오늘은 수원화성내에 위치한 동북공심돈과 서북공심돈, 남공심돈 등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1. 공심돈의 역할 및 기능

  • 공심돈은 단순한 망루(적을 살피는 곳)가 아니라, 동시에 적을 공격할 수 있는 다목적 군사 시설입니다.
  • 벽에 수많은 총안(총을 쏘는 구멍)과 포혈(포를 쏘는 구멍)을 뚫어 내부에 있는 병사들이 안전하게 외부의 적을 공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탄환이 어디서 날아오는지 적이 예측하기 어렵도록 구멍을 다양하게 낸 것이 특징입니다.
  • 벽돌로 높이 쌓아 견고하며, 내부에 병사들이 은폐하고 화력을 집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적의 공격에도 효율적으로 방어할 수 있습니다.
  • 최상층에는 군사들이 머물며 적의 동태를 파악하고 지휘부에 정보를 전달하는 포사(鋪舍)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2. 서로 다른 모양의 동북공심돈과 서북공심돈, 벽돌로 만든 공심돈

  • 공심돈이란 속이 텅 빈 돈대라는 뜻인데 돈대는 지대가 높고 튀어나온 곳에 둥글게 초소를 만들고 화포를 설치해 적을 막는 시설을 말한다.
  • 공심돈은 망원초소이기 때문에 성벽보다 높이 솟아 있다.
  • 공심돈은 모두 벽돌로 만들었는데 처음에는 돌로 쌓기로 하였으나 새롭게 변화한 전투방식을 고려해 벽돌과 돌을 알맞게 쓰기로 했다고 한다.
  • 대포를 쏘기 시작하면서 화포로 성을 부수고 점령하는 시대가 되어 대포 공격에 끄떡없이 버티려면 성벽이 뚜거워야 했고 돌보다는 벽돌이 좋았다.
  • 벽돌과 벽돌을 회로 이어 붙이기 때문에 돌보다 튼튼하고 대포공격으로 구멍이 생겨도 쉽게 무너져 내려안지 않기 때문이다.

 

3. 공심돈의 종류, 공심돈에 깃든 우주관

공심돈은 수원화성이 단순한 방어 시설을 넘어 당시 조선의 뛰어난 기술력과 혁신적인 사고가 결합된 과학적인 건축물이었다. 수원화성에는 언래 세 곳의 공심돈이 있었습니다. 동북공심돈과 서북공심돈은 겉모습이 매우 다르게 생겼다. 서북 공심돈은 네모나게 높이 솟구쳐 시원한 모습인데 반해 동북공심돈은 더 특이해 원통모양으로 쌓아 올려 듬직하게 보인다. 네모난 땅과 둥근 하늘의 모습을 형상화하여 서로 짝을 이루게 쌓은 것이라고 한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우주관을 표현하고 있다.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현재 보물 제171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화서문 옆에 위치하고 있는데 정조대왕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만든 것이니 마음껏 구경하라"고 할 정도로 만족감을 표했던 시설로 알려져있습니다. 수원시의 상징물로도 사용될 만큼 화성을 대표하는 건축물 중 하나이며 성벽과 누각 모두 축성 당시의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북공심돈은 화서문 북쪽의 치 위에 설치한 것으로 서쪽과 북쪽 2면에 현안 두 개씩을 내고 그 위에 벽돌위에 쌓은 뒤 속을 비우고 그 위에 집을 지었다. 밖에서 서북공심돈을 보면 성벽 위는 벽돌로 3층 높이 망루를 세웠고, 3층 건물의 내부에는 각 층마다 화포를 쏠 수 있도록 하였다.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東北空心墩)

창룡문 북쪽에 위치하며, 수원화성에서 유일한 원통형의 공심돈으로 내부가 소라처럼 나선형 계단으로 되어 있어 소라각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립니다. 한국전쟁 등으로 훼손되었으나 1976년에 복원되었습니다. 통로 사이사이에 총구멍을 만들어 군사들이 자신의 몸을 보호하며 총을 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동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남공심돈(南空心墩)

현재는 남아있지 않는데 남암문 동치(雉, 성벽에서 튀어나온 부분) 위에 있었으며, 『화성성역의궤』에 따르면 서북공심돈과 제도는 같으나 규모가 작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남공심돈은 공심돈 건설의 시험적인 성격을 띠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복원되지 못한 유일한 공심돈이며 전체적으로 서북공심돈과 구조는 같지만 크기는 작았다.

남공심돈
남공심돈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