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은 조선 후기 정조대왕의 효심과 개혁 의지가 담긴 건축물로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현재의 수원 화산(현 융릉)으로 옮기면서, 그 주변에 살던 주민들을 이주시킬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고자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원화성이 계획되었습니다. 또한 정조는 수원화성을 단순히 아버지의 묘를 보호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정치적 기반을 다지고 개혁을 추진하기 위한 신도시로 구상했습니다. 수원 지역을 상업적으로 발전시키고, 남쪽 지역의 방어를 강화하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오늘은 수원화성내 시설물도 봉돈에 대해서 살펴볼게요.
1. 수원화성의 통신탑 봉돈
외적이 쳐들어올 때 왕에게 알리는 가장 빠른 방법은 봉화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봉돈은 불과 연기를 이용해 신호를 보내는 시설로 행궁과 성을 지키며 주변을 정찰하여 인근에 상황을 알리는 시설이었습니다. 즉 봉돈은 수원화성의 상황을 주변에 신호로 알리는 통신탑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원화성의 봉돈(烽墩)은 일반적인 봉수대와는 차별화된 독특한 군사 시설입니다. 봉돈이라는 명칭 자체가 봉수 기능을 하는 돈대(墩臺, 성벽에 붙여 높게 쌓은 대)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역할은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횃불로 적의 침입이나 군사 상황을 알리는 통신 수단이었습니다.
5개의 연기구멍(화두, 火竇)을 통해 상황의 심각성을 단계별로 전달했습니다. 연기를 피워 올리는 재료로 주로 염소똥과 말똥을 말린 것을 사용하였으며 봉돈의 횃불 수에 따른 신호는 아래와 같아요.
- 1개: 평상시 (남쪽 첫 번째 화두)
- 2개: 적이 국경 근처에 나타났을 때
- 3개: 적이 국경선에 도달했을 때
- 4개: 적이 국경선을 침범했을 때
- 5개: 적과 아군 사이에 전투가 벌어졌을 때
수원화성행궁에서 직접 봉돈의 봉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가 트인 동쪽에 설치되었습니다. 이는 수원화성의 통신 체계가 행궁을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운영되었음을 보여줍니다.
2. 봉돈이라고 불린 이유
단순히 봉화만 올리는 봉수대와 달리, 봉돈 자체도 하나의 치성(성벽 밖으로 돌출시킨 시설) 역할을 하며, 총안(총을 쏘는 구멍)과 포혈(포를 쏘는 구멍)을 갖추어 자체 방어력을 지녔습니다. 내부에는 봉수군들이 사용할 구들방과 창고도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봉수대에는 총안이 여러 개 뚫려 있다. 방어가 아닌 공격으로 봉수를 지키려는 굳은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봉수대라고 하지 않고 봉수대와 작은 초소를 일컫는 돈대를 합쳐 봉돈이라고 한다. 돈대란 대포를 설치한 초소를 말한다.
3. 성 안에 위치한 봉돈
우리나라 봉수대는 대개 성 밖 봉우리에 있다. 봉수는 어느 것이나 화로가 다섯 개 있다. 불이 오르는 개수로 상황을 전달한다. 수원화성 봉돈은 성 안에 있는 것이 매우 특이하다. 산 위에 있던 봉수대의 문제점을 극복한 가장 완벽한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수원화성 봉수는 용인 석성산에서 오는 봉화를 받아 응답하고 수원 서쪽 바닷가 홍천대 봉수에 소식을 넘긴다. 수원화성 내에서 이렇게 봉화를 주고 받는 모습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은 지휘관이 머무는 화성행궁이다.
4. 벽돌로 만든 봉돈
봉수는 전국의 소식을 실시간으로 전하는 정보망이기 때문에 적에게는 가장 먼저 파괴해야 할 시설이다. 벽돌은 재료가 작기 때문에 다양한 모양으로 건물을 쌓을 수 있다. 또 새롭게 변화한 전투방식에 벽돌이 유리한 점이 많았다. 수원화성에서는 벽돌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여 적의 공격을 이겨내야 하는 중요한 시설과 곡선으로 건물을 만들어야 하는 시설에 벽돌을 사용하였는데, 봉돈과 공심돈이 바로 그런 건물이다.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원생생물의 종류와 특징, 연못 하천에 사는 원생생물, 바다에 사는 원생생물 (0) | 2025.07.17 |
---|---|
[과학] 동물의 한살이 개념, 배추 흰나비의 한살이 과정, 배추흰나비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 생김새 특징 (0) | 2025.07.17 |
[과학] 수원화성 서북공심돈 동북공심돈, 벽돌로 만든 공심돈, 공심돈은 원래 3곳이다 (0) | 2025.07.17 |
[과학] 균류의 종류와 특징, 효모 곰팡이 버섯 균류 형태와 구조 (0) | 2025.07.17 |
[과학] 생명과학이 우리생활에 이용되는 예, 균류를 이용한 생물농약, 원생생물을 이용한 생물연료, 세균을 이용한 플라스틱제 (0) | 2025.07.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