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방에 사는 동물, 사막에 사는 동물, 극지방 사막에 사는 동물의 생김새 생활방식
이슈

극지방에 사는 동물, 사막에 사는 동물, 극지방 사막에 사는 동물의 생김새 생활방식

인사이트인포 2025. 4. 24.
728x90

극지방에 사는 동물은 두꺼운 지방이 있거나 촘촘한 털이 있어서 추위를 견딜수 있으며 사막에 사는 동물은 큰 귀가 있거나 혹에 지방을 저장해 사막의 환경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극지방에 사는 동물의 생김새 생활방식, 사막에 사는 동물의 생김새 생활방식을 살펴볼게요.

 

극지방에 사는 동물

북극여우

북극 여우의 생김새를 살펴보면, 북극여우는 겨울에는 하얀 털이고 여름에는 회색이나 갈색 털로 바뀝니다. 귀가 작고 다리가 짧아서 열 손실을 줄이고 추위를 견딥니다. 푹신한 꼬리는 추위를 막아줍니다. 생활 방식은 영하 50도에서도 살 수 있으며 눈 속에 굴을 파서 찬바람을 피합니다. 짝을 이루어 가족 단위로 생활합니다.

북극여우
북극여우

 

북극곰

북극곰의 생김새는 귀가 작고 둥근 모양으로 발바닥이 넓어 눈밭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습니다. 지방층이 약 10cm 내외로 두껍습니다. 생활 방식은 주로 얼음 위에서 생활하며 사냥하며 강한 발톱을 가지고 있어서 얼음을 깨고 사냥하기에 유리합니다.

북극곰
북극곰

 

바다코끼리

바다코끼리의 생김새는 길고 튼튼한 송곳니가 있고 피부와 지방층이 두꺼우며 짧고 굵은 수염이 있습니다. 생활방식은 수십에서 수백 마리씩 큰 무리를 지어 살고 수컷끼리 싸우며 서열을 정하며 얼음과 육지를 오가며 생활합니다.

바다코끼리
바다코끼리

 

순록

순록의 생김새는 코끝이 털로 촘촘하게 덮여 있어서 체온을 유지하기에 유리합니다. 속이 비어 있는 털 때문에 따뜻한 공기를 가둬 보온을 합니다. 생활방식은 무리를 지어 살며 겨울철에는 먹이를 찾아 이동합니다. 시력이 나쁘지만 후각과 청각이 뛰어나 위험을 감지합니다.

순록
순록

 

하프물범

하프물범의 생김새는 물속에서 빠르게 헤엄칠 수 있도록 유선형 몸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 6~9cm의 지방층이 있어서 체온 유지에 유리하며 앞발이 짧고 둥글고 발톱이 발달해 얼음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뒷발은 넓은 물갈퀴 형태로 빠르게 헤엄치기에 좋습니다. 생활방식은 단독생활을 하지만 번식기에는 큰 무리를 형성하고 계절에 따라 이동을 하기도 합니다.

하프물범
하프물범

 

사막에 사는 동물

낙타

낙타의 생김새를 살펴보면, 낙타는 등에 혹이 있으며 혹에 지방을 저장하여 에너지로 사용합니다. 속눈썹이 길고 두꺼우며 콧구멍을 닫을 수 있어서 모래바람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발바닥은 넓고 납작하며 두꺼운 피부와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생활방식은 등에 있는 혹에 지방을 저장해 물과 먹이가 없어도 며칠 동안 살 수 있습니다. 한 번에 50L 이상의 물을 마실 수 있습니다. 낮에는 50도 이상의 더위도 잘 견디고 밤에는 영하 20도의 추위도 버팁니다.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낙타
낙타

 

사막여우

사막여우의 생김새는 몸길이 약 35~40cm, 몸무게 약 1.5kg 정도로 체구가 작고 몸에 비해 귀가 커서 열을 방출해 체온을 조절하고 사막 속 작은 소리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털은 모래 색과 비슷합니다. 생활 방식은 모래 언덕이나 바위 근처에 굴을 파고 살고 더위를 피해 밤에 사냥을 합니다. 먹이에서 수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거의 물을 마시지 않고도 살 수 있습니다. 가족 단위로 무리를 지어 생활합니다.

사막여우
사막여우

 

사막전갈

사막전갈의 생김새로 몸길이는 8~12cm 정도이고 몸 색은 사막 모래와 비슷한 색입니다. 큰 집게발이 있고 꼬리는 두껍고 힘이 세며 매우 강한 독이 있습니다. 생활 방식은 주로 사막과 같은 건조한 지역에 살고 낮에는 뜨거운 햇빛을 피해 굴 속에 숨어 있으며 밤에 사냥을 합니다. 물 없이도 몸 속 지방을 분해해 수분을 얻고 1년 동안 먹이를 먹지 않아도 생존 가능합니다.

사막전갈
사막전갈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