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의 세시 풍속 설날, 정월대보름, 삼짇날, 한식, 단오, 삼복, 백중, 추석, 상달, 동지, 우리민족의 고유 명절 세시풍속
호기심

옛날의 세시 풍속 설날, 정월대보름, 삼짇날, 한식, 단오, 삼복, 백중, 추석, 상달, 동지, 우리민족의 고유 명절 세시풍속

인사이트인포 2025. 7. 3.
728x90

우리 조상들은 계절과 날씨에 따라 세시 풍속을 즐겼습니다. 조상들은 세시 풍속에 풍년이나 가족의 건강과 복을 빌기도 하였습니다.

 

세시풍속이란?

세시풍속(歲時風俗)이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전통적인 생활 습관과 의례를 총칭하는 말입니다. 주로 농경사회에서 농사의 주기, 계절의 변화, 그리고 인간의 삶의 중요한 시기(탄생, 성장, 죽음 등)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형성되었습니다. 세시(歲時)는 해와 때를 의미하며 풍속(風俗)은 오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생활 습관을 의미합니다.

 

1.설날

  • 음력 1월 1일
  • 새해 첫날 조상들께 차례를 지내고 웃어른께 세배 드리기
  • 떡국 먹기 야광귀 쫓아내기: 설날 밤에 야광귀가 나타내서 아이들의 신발을 신어보다가 발에 맞는 것이 있으면 신고 간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야광귀에게 신발을 뺏기면 일년동안 좋지 못한 일이 생긴다고 믿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설날 밤이 되면 신발을 방 안에 들여놓고 일찍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설날
설날

 

2.정월 대보름

  • 음력 1월 15일 새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
  • 부럼깨기: 밤, 호두, 잣 등을 깨물면 피부병이 생기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
  • 오곡밥과 나물을 먹기 귀밝이술 마시기 : 차가운 청주를 마시면 귀가 밝아져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들을 수 있고, 1년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믿었습니다.
  • 지신밟기 : 농악대가 땅을 밟으며 돌아다니면 지신(땅을 지키는 신)이 사람들에게 복을 준다고 믿었습니다.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

 

3.삼짇날

  • 음력 3월 3일
  • 새봄을 알리는 날
  • 진달래꽃전 먹기
  • 꽃놀이 하기

진달래꽃전
진달래꽃전

 

4.한식

  • 동지(양력 12월 22일)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 차가운 음식을 먹음 성묘를 하고 풍년을 기원함
  • 밭에 씨를 뿌림
  • 투란 놀이 : 계란 위에 누가 더 그림을 잘 그리는지 겨루는 놀이

투란놀이
투란놀이

 

5.단오

  • 음력 5월 5일
  • 떡 만들어 먹기
  • 제철 열매인 앵두화채 먹기
  • 수리취떡 먹기
  • 단오 부채 선물하기
  • 창포물에 머리 감기
  • 그네뛰기, 씨름 등의 놀이하기

단오
단오

 

6.삼복

  • 여름의 가장 더운 때인 초복, 중복, 말복(10일 간격)
  • 더위를 피해 시원한 계곡이나 산에 놀러가기
  • 삼계탕과 같은 영양이 풍부한 음식 섭취

삼복
삼복

 

7.백중

  • 음력 7월 15일
  • 호미씻이 : 농사를 짓느라 애쓴 일꾼들에게 맛있는 음식과 술을 대접함

백중놀이 호미씻이
백중놀이 호미씻이

 

8.추석(한가위)

음력 8월 15일

조상들께 감사의 마음을 담아 차례 지내기

벌초하기 : 조상들의 무덤 주변의 잡초와 잔디를 베어 깨끗하게 보살피는 일

송편 먹기 강강술래, 달맞이, 씨름 등 놀이하기

강강술래
강강술래

 

9.상달

음력 10월

농사일이 끝나고 먹을 것이 많아 '가장 좋은 달' 이라는 뜻

상달 고사 지내기 : 집을 지켜주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 겨울을 대비해 김장을 하고 메주 만들기

상달고사
상달고사

 

10.동지

  • 양력 12월 22일
  •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날
  • 팥죽 먹기 : 팥죽의 붉은색이 귀신이나 나쁜 일을 쫓아낸다고 믿었다.
  • 달력 주고받기 : 동지가 새로운 날의 시작이라고 믿어 달력을 주고 받았습니다.

동지
동지

728x90

댓글